팝업배경

참조할 정보

 이 페이지의 내용은 옛한글을 지원하는 글꼴이 설치되어 있을 때에 잘 보입니다.

 

만일 화면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의 링크에서 옛한글 글꼴을 다운받아 설치하세요. 

Windows용                  http://ftp.ktug.org/KTUG/hcr-lvt/windows/hcr-lvt-win.zip

 

리눅스, 안드로이드용      http://ftp.ktug.org/KTUG/hcr-lvt/Hamchorom-LVT.zip

 

Mac, iphone용              http://ftp.ktug.org/KTUG/hcr-lvt/mac/hcr-lvt-mac.zip

 

 차례


1. 훈민정음 - 15세기 한국어의 표기법

1.1. 기본 글자의 수

1.2. 자음의 발음 차이

1.3. 모음의 발음 차이

1.4. 현재에는 사라진 발음 표기

1.4.1. 순경음 ㅸ, ㆄ, ㅱ, ㅹ

1.4.2. ㆅ 과 ㆀ

1.5. 음절 구조의 차이

1.6. 방점(side dots)을 이용한 성조 표기

1.7. 중국어 표기를 위한 변형 글자

 

 

2. 조선 시대에 한글로 외국어를 표기한 사례 

​​

 

      1. 중국어
      2. 만주어
      3. 몽골어
      4. 일본어

 

 

 

 

 

----------------- 

 

1. 훈민정음 - 15세기 한국어의 표기법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15세기에 처음 한글을 만들었을 때의 한글의 원래 이름입니다. 
이 시기의 한국어는 현재의 한국어와 발음에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15세기의 한국어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현대 한글의 표기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현대의 한국어는 15세기의 한국어에 비해서 바뀐 부분이 많이 있고 말소리의 구조가 좀더 구조가 단순해졌습니다. 그래서 한국어 표기법은 세계의 다양한 언어를 표기하는 데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런데 15세기의 한국어의 말소리 구조는 현대의 한국어보다 더 복잡했기 때문에 훈민정음은 현재 사용되는 한글보다 더 많은 수의 글자가 있었고 더 복잡한 음절 구조를 나타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한글 페스타 2023에서는 현대 한글을 벗어나서 15세기 한국어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된 표기법을 허용하여 참가자들이 자신의 언어를 좀더 자유롭게 표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훈민정음을 이용한 표기법은 현대식 표기법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하나하나 살펴보기로 합시다.

 

  

 

 

 

훈민정음 표기법과 현대 한국어 표기법의 차이

 

 

1.1. 기본 글자의 수

 

현대 한글의 기본 글자의 수는 24자입니다. (자음자 14, 모음자 10자) 훈민정음의 기본 글자의 수는 28자이며(자음자 17, 모음자 11자) 현대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자음 글자 3개(ㅿ, ㆁ, ㆆ)와 모음 글자 1개(ㆍ)가 더 있었습니다.

 

 

 발음

 용례

  

 /z/

(little brother) /a zʌ/,  여ᅀᅳ(fox) /jəzɯ/

여ᇫ의갗(fox leather) /jəz ɯj gas/

  

많은 학자들이 15세기 한국어에 /z/가 존재했었고, ㅿ가 이 소리를 표기할 때에 사용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발음

 용례

  

 /ŋ/

바ᅌᅩᆯ(bell)/ba ŋol/, 러ᅌᅮᆯ (racoon dog) /rə ŋul/

부허ᇰ(owl) /bu həŋ/, 올차ᇰ (tadpole) /ol ʦaŋ/ 

 

 

현대 한글에서 ㅇ은 초성에서 사용될 때에는 소리가 없고 종성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ŋ/ 소리가 납니다. 그러나 훈민정음의 ㅇ은 초성과 종성에서 모두 소리가 없는 글자로 사용되었습니다. 훈민정음에서는 ㆁ를 종성에서 /ŋ/을 나타내는 글자로 사용했고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초성의 위치에서도 ‘ㆁ’을 사용했습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초성에서 ㆁ가 나타나는 일이 없습니다. 종성에서는 ㆁ가 나타내는 소리인 /ŋ/이 없어지지 않았지만 ㅇ이 종성에서 사용되는 ‘ㆁ’을 대신하면서 글자 ㆁ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발음

 용례

 

 /ʔ/

 

(one) /ʔil/

(to do) /holʔ/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글자이며 한자음 표기와 된소리 표기를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현대 한글에서 사용되지 않는 4개의 기본 글자 중에서 제일 빨리 사라진 글자입니다.

 

 

 

 발음

 용례

 

/ ʌ /​ 

ᄃᆞᆯ (moon) /dʌl/, ᄡᆞᆯ(rice) /bsʌl/, ᄒᆞ나(one) /hʌna/

나ᄇᆡ (butterfly) /nabʌj/ 모ᄀᆡ (mosquito)/mogʌj/ 

 

 

 지금은 사라진 모음자 ‘ㆍ’은 관행적으로 ‘아래 아’라고 불립니다. 다수의 학자들은 이 글자가 나타내는 말소리가 /ʌ/였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2. 자음의 발음 차이

  

글자 

훈민정음 표기법 초성의 발음 

현대 한국어 표기법 초성의 발음 

훈민정음 표기법 종성의 발음 

 현대 한국어 표기법 종성의 발음

ㅅ 

s- 

s- 

-s

-t

ㅈ 

ʣ- 

ʥ- 

-s

-t

ㅊ 

ts- 

ʨ- 

-s

-t

 

 현대 한국어에서 ㅅ, ㅈ, ㅊ은 종성에서 모두 [-t]로 끝납니다. 그러나 15세기 한국어에서 ㅅ, ㅈ, ㅊ은 [-s]로 발음되었습니다.

 

 

 

1.3. 모음의 발음 차이

 

현대 한국어에서 어떤 모음자들의 결합은 새로운 모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15세기 한국어에서 모음자들은 원래의 모음자들의 발음을 그대로 합성하여 읽을 수 있습니다.

  

 글자

 훈민정음 표기법

 현대 한국어 표기법

ㅐ 

/aj/

/ɛ/

ㅔ 

/əj/​

/e/

/oj/

/ø ~ we/

/uj/

/y ~ wi/

/wai/

/wɛ/

/wəj/

/we/

 /wʌj/

없음

 

  

 

 

1.4. 현재에는 사라진 발음 표기

 

1.4.1. 순경음 ㅸ, ㆄ, ㅱ, ㅹ

 

 글자

 발음

용례 

/β ~ v/ 

수ᄫᅵ (easily) /su βi/

/f/ 

 

/w/ 

가ᇢ /gaw/ 

/v‘/

 

 

훈민정음에서는 ㅂ, ㅍ, ㅁ, ㅃ와 구분되는 마찰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각 글자의 아래에 ㅇ 을 더 써서 나타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중 한국어 표기에 사용되는 글자는 ㅸ 뿐이었습니다. 중국어 한자음을 나타낼 때 종성에 ‘ㅱ’가 사용되었습니다. 다른 글자들은 실제 사용 용례를 찾기 어렵습니다.

 

1.4.2. ㆅ 과 ㆀ

 

글자 

발음 

용례 

ː/ 

 ᅘᅧ다 (pull) /çːjə da/

 

/x/ 

ᅘᅩᇰ (: wide) /xoŋ/ 

/jː/ 

 괴ᅇᅧ (be loved) /goj jːə/

 

ㆅ과 ㆀ은 매우 드물게 나타납니다. ㆅ는 주로 한자음을 표기할 때에 사용되었습니다. ㆀ는 가장 찾기 힘든 표기이며 일부 동사의 피동형에서만 확인됩니다.

 

 

 

1.5. 음절 구조의 차이

 

현대 한국어에서는 초성과 중성에 최대 2개의 자음 글자만 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15세기 한국어의 표기에서는 초성과 종성에 각각 최대 3개씩의 자음 글자가 올 수 있었습니다. 

3개의 자음 글자를 어떻게 읽는가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의견이 갈립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일단 편의상 훈민정음에서 3개의 글자를 다 개별 낱자와 동일하게 읽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용례

 발음

 ᄡᆞᆯ (rice)

 

 /bsʌl/

 

 ᄃᆞᆰ (rooster)

 

 /dʌrg/

 

 ᄢᅳᆷ (aperture)

 

 /bsgɯm/

 

 ᄣᅢ (time)

 

 /bsdaj/

 

 ᄃᆞᇌᄣᅢ (rooster’s time: 5 p.m. 7 p.m.)

 

 /dʌrgs bsdaj/

 

 

 

 

1.6. 방점(side dots)을 이용한 성조 표기

 

15세기의 한국어에는 성조가 있었습니다. 훈민정음 표기법에서는 한국어의 성조를 평성(low), 상성(rising), 거성(high), 그리고 받침에 따라 결정되는 입성(checked) 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글자 왼 쪽에 점을 찍어 성조를 표시했습니다. 

 

 

 성조

 표기

 용례

 평성

 점이 없음

 :사람:·:ᄒᆡ·:·ᄫᅵ 니····ᄡᅮ·

 

 거성

 점 1개

 상성

 점 2개

 

 

 

1.7. 중국어 표기를 위한 변형 글자

 

15세기의 중국어에서는 /s/, /z/, /ts/, /dz/, /tsʰ/ 와 /ɕ/, /ʑ/, /tɕ/, /dʑ/, /tɕʰ/ 가 서로 구분되었습니다. 한국어의 한자음에서는 이들 소리가 구분되지 않았지만 중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해서 ㅅ, ㅆ, ㅈ, ㅉ, ㅊ 를 변형해서 ᄼ, ᄽ, ᅎ, ᅏ, ᅔ와  ᄾ, ᄿ, ᅐ, ᅑ, ᅕ라는 글자를 만들었습니다. 이 변형된 글자들은 오직 중국어의 발음을 표기할 때에만 사용되었습니다.

 




 

2. 조선 시대에 한글로 외국어를 표기한 사례

 

조선 시대의 통역사를 양성하기 위한 외국어 교육 기관 사역원에서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교재를 편찬했습니다. 이 교재들에서는 각 외국어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했는데, 이 발음표기법은 언어들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또 동일한 언어라고 하더라도 교재의 성격이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에 몇 가지 예를 소개합니다.


1. 중국어

 

 

 

 

2. 만주어

 


 

3. 몽골어

 ​

 

 

 

 

4. 일본어

 

 

 

 

 

 

 

 

팝업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