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배경

참조할 정보

 이 페이지의 내용은 옛한글을 지원하는 글꼴이 설치되어 있을 때에 잘 보입니다.

 

만일 화면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의 링크에서 옛한글 글꼴을 다운받아 설치하세요. 

Windows용                  http://ftp.ktug.org/KTUG/hcr-lvt/windows/hcr-lvt-win.zip

 

리눅스, 안드로이드용      http://ftp.ktug.org/KTUG/hcr-lvt/Hamchorom-LVT.zip

 

Mac, iphone용              http://ftp.ktug.org/KTUG/hcr-lvt/mac/hcr-lvt-mac.zip

 

 차례


1. 훈민정음 - 15세기 한국어의 표기법

1.1. 더 많은 글자

1.2. 더 자유로운 낱자의 결합

1.2.1 ㆅ 과 ㆀ

1.2.2. 순경음 ㅸ, ㆄ, ㅱ, ㅹ  

1.3. 발음의 차이

1.3.1. 자음의 발음 차이

1.3.2. 모음의 발음 차이

1.4. 방점(side dots)을 이용한 성조 표기

1.5. 중국어 표기를 위한 특수한 글자들​

 

 

 

2. 조선 시대에 한글로 외국어를 표기한 사례 

​​

2.1. 중국어

2.2. 만주어

2.3. 몽골어

2.4. 일본어

2.5. 영어

 

 

 

 

 

 

----------------- 

 

1. 훈민정음 - 15세기 한국어의 표기법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15세기에 처음 한글을 만들었을 때의 한글의 원래 이름입니다. 또한 동시에 훈민정음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서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의 한국어는 현재의 한국어와 발음에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15세기의 한국어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현대 한글의 표기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현대의 한국어는 15세기의 한국어에 비해서 바뀐 부분이 많이 있고 말소리의 구조가 좀더 구조가 단순해졌습니다. 그래서 한국어 표기법은 세계의 다양한 언어를 표기하는 데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런데 15세기의 한국어의 말소리 구조는 현대의 한국어보다 더 복잡했기 때문에 훈민정음은 현재 사용되는 한글보다 더 많은 수의 글자가 있었고 더 복잡한 음절 구조를 나타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한글 페스타에서는 현대 한글을 벗어나서 15세기 한국어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된 표기법을 허용하여 참가자들이 자신의 언어를 좀더 자유롭게 표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렇게 현대 한국어의 표기 방식에 머무르지 않고 15세기 이후로 옛 한국어나 외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던 다양한 한글 표기방식을 지금부터 '훈민정음식 표기법'이라고 부르기로 합시다. 그럼 훈민정음식 표기법은 현대 한국어의 표기법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하나하나 살펴보기로 합시다.

 

   

 옛 글자들이 보이는 훈민정음해례본의 한 면

 

사진출처: 문화재청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unisearch/images/national_treasure/1611473.jpg 

 

 

훈민정음식 표기법과 현대 한국어 표기법의 차이

 

 

1.1. 더 많은 글자

 

현대 한글의 기본 글자의 수는 24자입니다. (자음자 14, 모음자 10자) 훈민정음의 기본 글자의 수는 28자이며(자음자 17, 모음자 11자) 현대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자음 글자 3개(ㅿ, ㆁ, ㆆ)와 모음 글자 1개(ㆍ)가 더 있었습니다. 그리고 훈민정음에 나온 글자의 순서는 오늘날의 배열 순서(ㄱ, ㄴ, ㄷ, ... ㅎ, ㅏ, ㅑ, ㅓ, .... ㅣ)와 다릅니다.

 

다음 표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직후의 문헌에서 용례나 설명을 확인할 수 있는 글자들을 모아 놓은 것입니다.

 

 

 초성의 기본 글자 17자 (훈민정음의 배열 순)

 

 중성의 기본 글자11자 (훈민정음의 배열 순)

 

 초성에서 같은 글자를 옆으로 쓰기

  

 초성에서 다른 글자를 옆으로 쓰기

  ​​

 종성에서 다른 글자를 옆으로 쓰기

  ​

 ㅇ을 세로로 덧붙여 쓰기

 

 중성자 겹쳐 쓰기

 

   

 

 

1.1.1. 현재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기본 글자 4개


1.1.1.1. ㆁ

 

 

 발음

 용례

 

  

 

  /ŋ/

바ᅌᅩᆯ(bell)/ba ŋol/, 러ᅌᅮᆯ (racoon dog) /rə ŋul/

부허ᇰ(owl) /bu həŋ/, 올차ᇰ (tadpole) /ol ʦaŋ/ 

 

 

현대 한글에서 ㅇ은 초성에서 사용될 때에는 소리가 없고 종성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ŋ/ 소리가 납니다. 그러나 훈민정음의 ㅇ은 초성과 종성에서 모두 소리가 없는 글자로 사용되었습니다. 훈민정음에서는 ㆁ를 종성에서 /ŋ/을 나타내는 글자로 사용했고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초성의 위치에서도 ‘ㆁ’을 사용했습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초성에서 ㆁ가 나타나는 일이 없습니다. 종성에서는 ㆁ가 나타내는 소리인 /ŋ/이 없어지지 않았지만 ㅇ이 종성에서 사용되는 ‘ㆁ’을 대신하면서 글자 ㆁ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1.1.1.2. ㆆ 

 

 

 발음

 용례

 

 /ʔ/ 

(one) /ʔil/

(to do) /holʔ/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글자이며 한자음 표기와 된소리 표기를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현대 한글에서 사용되지 않는 4개의 기본 글자 중에서 제일 빨리 사라진 글자입니다.

 

 

1.1.1.3. ㅿ 

 

 

 발음

 용례

  

 /z/

(little brother) /a zʌ/,  여ᅀᅳ(fox) /jəzɯ/

여ᇫ의갗(fox leather) /jəz ɯj gas/

  

많은 학자들이 15세기 한국어에 /z/가 존재했었고, ㅿ가 이 소리를 표기할 때에 사용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자는 중세 중국어의 성 [ʒ] (현대 중국어의 '日'자처럼 한어병음에서 r로 표기하는 소리입니다.) ​를 표기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습니다.

 

 

 

1.1.1.4. ㆍ 

 

 

 발음

 용례

 

/ ʌ /​ 

ᄃᆞᆯ (moon) /dʌl/, ᄡᆞᆯ(rice) /bsʌl/, ᄒᆞ나(one) /hʌna/

나ᄇᆡ (butterfly) /nabʌj/, 모ᄀᆡ (mosquito)/mogʌj/ 

 

 

 지금은 사라진 모음자 ‘ㆍ’은 관행적으로 ‘아래 아’라고 불립니다. 다수의 학자들은 이 글자가 나타내는 말소리가 /ʌ/였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2. 더 자유로운 낱자의 결합

 

 

현대 한국어에서는 초성과 종성에 최대 2개의 자음 글자만 올 수 있습니다. 중성에는 3개의 모음 글자가 올 수 있지만 실제 소리를 기준으로는 중성에 올 수 있는 글자는 2개 (ㅙ = ㅗ + ㅐ, ㅞ = ㅜ +ㅔ, ㅘ = ㅗ + ㅏ, ㅝ= ㅜ + ㅓ, ...)입니다. 

현대 한국어 표기법과는 달리 15세기 한국어의 표기에서는 초성, 중성, 종성에 각각 최대 3개까지 자음 글자를 함께 쓸 수 있었습니다. 

 

1.2.1. 같은 자음 글자를 옆으로 쓰기


글자 

발음 

용례 

g 또는 k˭

꾸ᇰ(: to exhaust) [guŋ] 또는[k˭​uŋ] 

d또는​ t˭

(: same) [doŋ] 또는[t˭​​] 

b 또는​ p˭

뼈ᇰ(: illness) [bjəŋ] 또는[p˭ŋ​​​] 

s˭

쓰다(write) [s˭ɯda], 쎠ᇰ(: to accomplish) [s˭​ŋ] 

dz 또는​ ts

 (: to exist) [dzon] 또는 [tson]

 çː 

 ᅘᅧ다 (pull) [çːjə da] 

 χ 

ᅘᅩᇰ(: wide) [χoŋ] 

 ㅥ

 nː 

다ᄔᆞ니라(verb: touches) [tanː​ʌnira] 

jː

 괴ᅇᅧ(be loved) [koj jːə] 

 

ㄲ, ㄸ, ㅃ, ㅆ, ​ㅉ한국어의 된소리나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자음을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주로 중세 중국어의 유성자음을 표기할 때에 사용되었습니다. ㅥ은 15세기 한국어에서 ㄴ이 연속으로 올 때 사용될 때가 있었지만 이런 경우에는 첫 ㄴ은 주로 ​앞 음절의 종성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습니다.(니라)  ​, ㆀ [j] 앞에서 나타나는 미세한 음성적 차이를 나타낼 때 사용했습니다.

 

 

1.2.2. 다른 자음 글자를 옆으로 쓰기 


자음 글자가 연속으로 나올 때에는 개별 낱자의 말소리를 그대로 발음해 주면 됩니다. 그러나 자음 글자 3개가 같은 위치에 함께 나타날 경우 어떤 소리로 읽는가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의견이 갈립니다. 여기에서는 일단 훈민정음에서 3개의 글자를 다 개별 낱자와 동일하게 읽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용례

 발음

 ᄡᆞᆯ (rice)

 /bsʌl/ 

 ᄃᆞᆰ (rooster)

 /dʌrg/

 ᄢᅳᆷ (aperture)

 /bsgɯm/

 ᄣᅢ (time)

 /bsdaj/

 ᄃᆞᇌᄣᅢ (rooster’s time: 5 p.m. – 7 p.m.)

 /dʌrgs bsdaj/

 


1.2.3. ㅇ을 세로로 덧붙여 쓰기

 

훈민정음에서는 ㅂ, ㅍ, ㅁ, ㅃ와 구분되는 마찰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각 글자의 아래에 ㅇ 을 더 써서 나타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중 한국어 표기에 사용되는 글자는 ㅸ 뿐이었습니다. 중국어 한자음을 나타낼 때 종성에 ‘ㅱ’가 사용되었습니다. 

  

 글자

 발음

용례 

 β ~ v 

수ᄫᅵ (easily) /su βi/

 f 

 

 w 

 가ᇢ /gaw/ 

 v'

 

 

 

  설명만 있고 사용된 용례가 없음.

 

 

 1.2.4. 중성자 겹쳐 쓰기

 

15세기 한국어에서는 현대 한국어보다 훨씬 더 많은 모음자의 결합을 허용하였습니다. 창제 초기의 문헌에서 나타나거나 설명되는 모음자들의 결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확인됩니다. 

 

 

 

 

 15세기 당시의 표준 한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방언이나 아이들의 발음을 표기할 때 다음과 같은 특수한 결합이 가능하다고 하였습니다. 이 글자들은 현대의 표준 한국어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한국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위에 대응되는 소리들을 ‘ᅟᆢ’, ‘ᅟᆖ’과 같은 특수한 형태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글자

 15세기의 발음

 현대 한국어 표기법의 발음

ᅟᆝ​ 

 

없음

ᅟᆜ

 jɯ​

없음​ 

 

 글자

 현대 한국어 방언에서의 발음

 현대 한국어 방언의 표기 용례

 ᅟᆝ→ ᅟᆢ

  (표준어: 야무지다) 

ᅟᆜ  → ᅟᆖ 

 (표준어: 영감)

 

 

1.3. 중국어 표기를 위한 특수한 글자들​


15세기 한국어에는 중국어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특별히 사용된 변형 문자들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변형 문자는 중국어에서 나타나는 치두음(齒頭音)과 정치음(正齒音)의 구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이 글자들은 오직 중국어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었지만 한글 페스타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다른 언어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자

36자모(링크)

종류

발음

 

 

 

치두음(齒頭音, dental sibilant​)

 중국어의 [s]에 대응됨.

 邪​​

 

치두음(齒頭音, dental sibilant​)

 중국어의 [z]에 대응됨.​   

 精​​ 

치두음(齒頭音, dental sibilant​)​​

 중국어의 [ts]에 대응됨.​ 

 

 從​​ 

치두음(齒頭音, dental sibilant​)

 중국어의 [dz​]에 대응됨.

 

 清​​ 

치두음(齒頭音, dental sibilant​)​​

 중국어의 ​[tsʰ]에 대응됨.

 

  

정치음(正齒音, retroflex sibilant​)

 중국어의 [ɕ]에 대응됨.​ 

 

  

정치음(正齒音, retroflex sibilant​)

 중국어의  [ʑ]에 대응됨.​ 

  

정치음(正齒音, retroflex sibilant​)

 

 중국어의 [tɕ]에 대응됨.​ ​​

 

  

정치음(正齒音, retroflex sibilant​)

 중국어의 [dʑ]에 대응됨.​ 

 

정치음(正齒音, retroflex sibilant​)

 중국어의 [tɕʰ]에 대응됨.​  

 

  

1.4. 발음의 차이


1.4.1. 자음의 발음 차이

  

글자 

훈민정음 표기법 초성의 발음 

현대 한국어 표기법 초성의 발음 

훈민정음 표기법 종성의 발음 

 현대 한국어 표기법 종성의 발음

ㅅ 

 s- 

 s- 

-s

-t

ㅈ 

 ʣ- 

 ʥ- 

 -s

-t

ㅊ 

 ts- 

 ʨ- 

 -s

 -t

 

 현대 한국어에서 ㅅ, ㅈ, ㅊ은 종성에서 모두 [-t]로 끝납니다. 그러나 15세기 한국어에서 ㅅ, ㅈ, ㅊ은 [-s]로 발음되었습니다.

 

 

 

1.4.2. 모음의 발음 차이

 

현대 한국어에서 어떤 모음자들의 결합은 새로운 모음을 나타냅니다.(예: ㅏ[a] + ㅣ[i] → ㅐ[ɛ])

그러나 15세기 한국어에서 모음자들은 원래의 모음자들의 발음을 그대로 합성하여 읽을 수 있습니다.(예: ㅏ[a] + ㅣ[i] → ㅐ[ai] )

  

 글자

 훈민정음 표기법의 발음

 현대 한국어 표기법의 발음

ㅐ 

 [aj]

 [ɛ]

ㅔ 

[əj​]

[e]

 [oj]

 [ø] ~ [we]

[uj]

 [y] ~ [wi]

[waj]

 [wɛ]

[wəj]

 [we]

[ʌj]

없음

 

유일한 예외는 [j-]로 시작되는 ㅛㅕ를 결합할 때입니다이 글자들은 중국어를 표기할 때에 사용되는 특수한 결합방식이었고, [j-]로 시작하는 두 글자가 합쳐지면서 하나의 [j]만 발음되는 매우 특이한 방식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글자

 15세기의 발음

 현대 한국어 표기법의 발음

 

 jwa

없음

 

 jwaj

없음​

 

 jwə

없음​

 

 jwəj

없음​

    

 

1.5. 방점(side dots)을 이용한 성조 표기

 

15세기의 한국어에는 성조가 있었습니다. 훈민정음 표기법에서는 한국어의 성조를 평성(low), 상성(rising), 거성(high), 그리고 받침에 따라 결정되는 입성(checked) 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글자 왼 쪽에 점을 찍어 성조를 표시했습니다. 

 

 

 성조

 표기

 용례

 평성

 점이 없음

 :사람:·:ᄒᆡ·:·ᄫᅵ 니····ᄡᅮ·

 

 거성

 점 1개

 상성

 점 2개

 

 

 

 

 

2. 조선 시대에 한글로 외국어를 표기한 사례

 

조선 시대의 통역사를 양성하기 위한 외국어 교육 기관 사역원에서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교재를 편찬했습니다. 이 교재들에서는 각 외국어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했는데, 이 발음표기법은 언어들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또 동일한 언어라고 하더라도 교재의 성격이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에 몇 가지 예와 함께 옛 문헌을 직접 볼 수 있는 바로가기를 소개합니다.


2.1. 중국어

 

 

 

 

디지털한글박물관 - 기록물건 (hangeul.go.kr) (번역박통사 1517 이전)

 

서울대학교 규장각 - (노걸대언해 1670​)

 

디지털한글박물관 - 기록물건 (hangeul.go.kr)(박통사신석언해 1765)

 

디지털한글박물관 - 기록물건 (hangeul.go.kr) (중간노걸대언해 권상 1795)

디지털한글박물관 - 기록물건 (hangeul.go.kr) (중간노걸대언해 권하 1795)

 

 

2.2. 만주어

 

국립중앙도서관>통합검색>통합검색결과 (nl.go.kr)(소아론 1703?, 1777?)

 

디지털한글박물관 - 원문 해제 (hangeul.go.kr) (동문유해 1748) (뷰어 설치 필수. PC)

 

국립중앙도서관>통합검색>통합검색결과 (nl.go.kr)​ (한청문감 1779) (뷰어 설치 필수. PC)

 

국립중앙도서관>통합검색>통합검색결과 (nl.go.kr) (청어노걸대)

  

2.3. 몽골어

 

 ​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몽어노걸대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snu.ac.kr) 첩해몽어 (1790)

 

 

 

2.4. 일본어

 

디지털한글박물관 - 기록물건 (hangeul.go.kr) 중간첩해신어 권1

 

디지털한글박물관 - 기록물건 (hangeul.go.kr) 왜어유해 권상

 

디지털한글박물관 - 기록물건 (hangeul.go.kr) 왜어유해 권하​

 

서울대학교 규장각 - 인어대방 1790

 

국립중앙도서관>통합검색>통합검색결과 (nl.go.kr)  - 아학편 1910

 

 

2.5. 영어


 


 

 “아학편(兒學編)” 영단어 발음의 한글 표기에 관한 소고 (kci.go.kr)

 

 

 

팝업배경